서울시에서는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의 가사노동 부담을 덜어주고 일·생활의 균형을 위해 '가사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서울시 가사서비스는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서울을 만들기 위한 '엄마아빠 행복프로젝트'의 하나인데요, 서울에 거주하는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의 가정, 약 1만 3,000 가구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대상
서울거주 중위소득 150% 이하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
- (임산부 가구) 임신 ~ 출산 후 1년 이내 가구
- (맞벌이 가구) 부부 모두 주 20시간 이상 근로하고 있는 가구
- (다자녀 가구) 공고일 기준 미성년 자녀(만 18세 이하)가 2명 이상인 가구
※ 2004년 6월 20일 출생자부터 해당
📌 서울형 가사서비스 소득기준
서울형 가사서비스 소득기준


지원규모
약 13,000가구 지원 (자치구별 상이)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내용
가정방문 통한 가사서비스 지원
- 거주하는 장소(방, 거실) 및 주방, 화장실 청소, 설거지, 쓰레기 배출, 세탁 등
※ 제외 : 정리정돈, 취사, 아이 돌봄, 반려동물 관련, 입주청소, 전문자격 요하는 서비스
우선지원
가족돌봄공백 발생가구
- 본인 또는 가족의 장애, 질병 등의 사유로 가족 돌봄 공백 발생한 경우
지원 횟수
가구당 총 6회 (1회당 4시간, 30분 휴게시간 포함)
이용요금
무료(본인부담금 없음)
서울형 가사서비스 신청기간
2023년 6월 27일(화) 10:00 ~ 23년 7월 6일(목) 23:59까지
신청방법
서울형 가사서비스(seoulgasa.or.kr) 누리집 통한 온라인 신청 및 증빙서류 제출
(신청절차)
서울형 가사서비스 신청페이지 접속 -> 회원가입 -> 자가진단 -> 개인정보 제공동의 -> 로그인 -> 서비스 신청 -> 정보입력 -> 증빙서류 첨부 -> 최종 제출
👉 권역별 문의처
서울형가사서비스 누리집 바로가기 https://seoulgasa.or.kr/
서울형 가사서비스
(도심권) (사)한국가사노동자협회 (전화번호: 1566-7390) -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서대문구 (서북권) 참사랑어머니회 (전화번호: 02-3473-0508) - 마포구, 은평구, 양천
seoulgasa.or.kr
서울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 아는 만큼 도움이 되는 서울생활정보를 생애주기별로 알려주는 서울 사용 설명서 확인하기~!
2023서울사용설명서, 내 손안에 서울
정부나 지자체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들이 많은데요~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인데도 받지 못하고 있다면 아쉬울 것 같습니다. 서울시에서는 생애주기별로 서울생활정보를 알려주고 있다고 해요
overman13.tistory.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교통복지카드 행복택시 대상자 확대(7월 1일~) (0) | 2023.07.04 |
---|---|
저소득층 자녀 무료안경 지원(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0) | 2023.07.03 |
서울시 장애인 버스요금 무료지원 (0) | 2023.06.29 |
탄소중립포인트 녹색생활실천 홈페이지 참여방법 (0) | 2023.06.26 |
발달장애인 24시간 긴급돌봄센터 서울시 (0) | 2023.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