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은둔청년 지원사업은 고립은둔 상황에 처해있는 청년들이 삶의 활력과 동기를 얻어, 사회로 안전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심리상담 및 맞춤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해당 사업에 참여 신청 후 대상자로 선정되면 반려식물 보급사업도 추가로 신청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심리적 안정감에 도움을 주는 '반려식물' 3가지를 기를 수 있습니다.
고립·은둔청년 지원사업
지원대상
서울 거주 만 19~39세 고립은둔 청년 및 가족
* 고립은둔 청년 당사자뿐만 아니라, 가족 또는 지인의 접수도 가능합니다. 다만, 고립은둔 청년 당사자의 동의를 얻으신 후에 전화로 상담신청을 주셔야 합니다. (02-6953-2520 청년이음센터)
지원내용
- 고립·은둔청년 맞춤 상담 및 마음건강 정책 연계지원
- 정서건강/관계건강 프로그램, 활동형 프로그램(예술, 운동, 취미, 원예 등)
- 진로탐색/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일 경험 프로그램
- 공동생활 프로그램(소규모 인원), 부모 교육 및 자조모임(하반기 예정)
* 설문 결과와 1차 상담 결과 등을 토대로 참여유형이 정해집니다. 참여유형에 따라 지원프로그램이 상이합니다.
신청기간
2023년 4월 25일(화) 10시부터 11월 3일(금) 오후 5시 까지 상시 모집합니다.
다만, 진행 상황에 따라 모집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청년몽당정보통 온라인 신청
https://youth.seoul.go.kr/site/main/content/reclusion_youth_intro
고립과 은둔의 기준은 무엇일까요?
시는 정서적 ·물리적 고립상태가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고립'으로, 외출 없이 집에서만 생활하는 상태가 최소 6개월 이상 이어지는 경우를 '은둔'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 고립청년은 다음의 2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한 자로 정의
❶ 현재 정서적 또는 물리적 고립 상태에 놓인 자, 다음의 조건 중 1가지 이상 해당하는 경우
정서적 고립 : 아래 4가지 상황에서 도움을 구할 수 있는 사람이 전혀 없음
- 중요하거나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조언을 구할 수 있는 사람
- 급한 일이 있을 때, 부탁할 수 있는 사람
- 개인적으로 돈을 빌려야 할 때, 부탁할 수 있는 사람
- 낙심하거나 우울할 때 속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사람
물리적 고립 : 아래의 가족/친척 외 사람들과 대면교류가 1년에 한두 번 이하 또는 전혀 없음
- 친한 친구나 친한 사람과의 대면 교류
- 이외 직장, 학교, 동네에서 알고 지내는 사람들과 대면교류(업무상 교류 제외)
❷ 고립 상태가 최소 6개월 이상 유지
✏️ 은둔청년은 다음의 3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한 자로 정의
❶ 현재 외출이 거의 없으며 본인의 방 또는 집 안에서만 생활하는 자, 다음의 4가지 사항 중 하나에 해당
- 보통은 집에 있지만, 자신의 취미생활만을 위해 외출함
- 보통은 집에 있지만, 인근 편의점 등에는 외출함
- 자기 방에서 나오지만, 집 밖으로는 나가지 않음
- 자기 방에서 거의 나오지 않음
❷ 은둔 상태가 최소 6개월 이상 유지
❸ 지난 1주일간 경제활동이 없었고, 1개월 이내에 구직활동 및 학업을 전혀 하지 않았음
문의
수행기관 02-6953-2520
고립·은둔 청년 반려식물 보급사업
지원대상
만 19세 ~ 39세 서울 거주 청년 중 고립은둔청년 지원사업 대상자
* 반려식물 보급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청년몽땅정보통을 통해 '서울시 고립은둔청년 지원사업'에 참여 신청 후 대상자로 선정되어야 합니다. 대상자로 선정 후 반려식물 보급 사업을 추가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
지원내용
반려식물 보급(500명, 1인 3개) 및 대면 원예프로그램(300명) 운영
지원기간
2023년 6월 ~ 10월
신청방법
청년몽당정보통 온라인 신청
.. 더 자세한 내용👇
내 손안에 서울https://mediahub.seoul.go.kr/archives/2008082
초록 탈출구가 되어주길! 고립·은둔 청년에 반려식물 지원
서울시대표소통포털 - 내 손안에 서울
mediahub.seoul.go.kr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여성 취업지원금 2차 모집 2023 (1) | 2023.06.05 |
---|---|
파주시 청년 월세 지원사업 2023 하반기 (1) | 2023.06.02 |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2분기 신청 안내 (0) | 2023.05.31 |
2023 에너지바우처 신청대상 방법 지원금액 (0) | 2023.05.30 |
2023년 2학기 1차 국가장학금 신청기간 안내 (0) | 2023.05.27 |
댓글